티스토리 뷰

목차



    2025 농지이양 은퇴직불금 신청자격, 조건

    농사를 계속 짓기엔 힘들지만 땅을 넘기자니 걱정되시나요?
    2025 농지이양 은퇴직불제도는 고령 농업인이 은퇴를 선택하고 농지를 양도할 경우,
    월 최대 50만 원, 최대 10년간 직불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신청 자격, 수령액 계산, 신청 방법까지 지금 정리해 드립니다.

    농지은행, 농지연금 포털

     

    농지이양 은퇴직불제도란?

     

    고령 농업인이 본인의 농지를 한국농어촌공사에 매도하거나,
    일정 기간 임대한 후 매도하는 방식으로 양도하면
    정부가 은퇴 보조금 형태로 직불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최대 월 50만 원, 최장 10년간 지급되며, 은퇴 후 안정적 소득을 보장합니다.

    2025 농지이양 은퇴직불금 신청자격, 조건2025 농지이양 은퇴직불금 신청자격, 조건2025 농지이양 은퇴직불금 신청자격, 조건

    신청 자격 조건

     

    - 연령: 만 65세 이상 ~ 84세 이하 (예: 1944년~1959년생)
    - 농업 경력: 최근 10년 이상 영농 종사
    - 농지 보유: 3년 이상 본인 명의 농지
    - 양수인: 청년 창업농, 후계농업인, 귀농귀촌 창업자

     

    지급 방식과 수령액 계산

     

    ① 일반 매도형: ha당 월 50만 원 × 최대 10년 = 최대 6,000만 원
    ② 조건부 임대형: 월 40만 원 + 농지연금 + 임대료 = 월 최대 300~400만 원 가능

    보유 면적 일반 매도형 조건부 임대형 예상 총수령액
    0.5ha 25만 원 200만 원 3천만~6천만 원
    1ha 50만 원 300만 원 6천만~1억+
    2ha 100만 원 400만 원 1억~2억+

    충청남도는 월 41만 원 추가 지급!

     

    충청남도는 ha당 월 41만 원을 추가 지원합니다.
    기본 직불금과 합산하면 연간 최대 1,100만 원 수령 가능!
    현재 기준으로 충남 외 타 지자체는 별도 추가 지급 없음 (변경 가능성 있음)

    2025 농지이양 은퇴직불금 신청자격, 조건2025 농지이양 은퇴직불금 신청자격, 조건2025 농지이양 은퇴직불금 신청자격, 조건

    자녀에게 농지 양도 가능할까?

     

    가능합니다! 단, 자녀가 반드시 농업 종사 자격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 후계농업경영인
    • 청년 창업농
    • 귀농귀촌 창업자 등


    단순한 명의 이전은 인정되지 않으며, 실질적 농업 종사가 중요합니다.

     

    신청 방법 및 절차

     

    • 신청처 : 한국농어촌공사 관할 지사
    • 신청방식 : 방문 신청만 가능 (온라인 미지원)
    • 필요서류 : 신청서, 농지 등기부 등본, 농업경영 이력 등


    ※ 신청 면적 한정 → 조기 마감 가능성 있음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농지를 자녀에게 양도해도 직불금을 받을 수 있나요?
    A. 자녀가 청년 창업농, 후계농업인 등 농업 종사 자격을 갖춘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Q2. 직불금은 언제부터 지급되나요?
    A. 신청이 승인되면 해당 연도부터 지급이 시작되며, 월 단위로 지급됩니다.

     

    Q3. 충청남도 외 다른 지역도 추가 직불금이 있나요?
    A. 현재 기준으로는 충남만 해당되며, 다른 지자체는 향후 공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Q4. 신청 면적이 많을수록 유리한가요?
    A. 수령액은 보유 면적에 따라 비례하지만, 한정된 예산 내에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빠른 신청이 중요합니다.

     

    지금 신청해야 할 이유

     

    농지를 자녀에게 넘기며 은퇴를 고민 중이시라면, 지금이 절호의 기회입니다.
    조건만 충족된다면 10년간 안정적인 직불금을 받을 수 있으며,
    충남 농업인이라면 추가 지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가까운 농어촌공사 지사를 통해 상담부터 시작해 보세요.

     

     

     

    반응형